|
|
|
|
HOME > 원자력 홍보관 > 원자력의 안전성
|
|
|
원자력 발전은 3중으로 보장되는 안전 대책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그 첫째는 엄격한 품질 관리와 여유 있는 안전 설계를 택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운전중 각 기기에 가해지는 힘이나 온도 등에 대해 이들 기기가 충분히 견딜 수 있도록 설계를 여유 있게 함과 동시에 모든 사용 기기는 고품질의 것을 선택하고 품질 관리를 철저히 하고 있습니다.
|
|
둘째는 인터로크(Interlock) 시스템의 도입입니다. 이것의 의미는 원자력발전은 만약에 인위적인 과실이 있을 경우에도 그 과실이나 오동작이 더 이상 진행되지 못하도록 방어하는 기능을 갖고 있습니다. 이것은 마치 영화에 나오는 주인공이 통과해야 하는 긴 통로에서 첫 번째 문이 완전히 닫히지 않으면 다음 문이 열리지 않도록 되어 있는 것과 같은 이치입니다.
셋째는 페일 세이프(Fail Safe, 고장시 안전 작동)라는 안전 기능입니다. 이것은 기계가 고장이 나면 자동적으로 안전이 확보되도록 하는 장치입니다. 예를 들면 파이프가 파손된 상황에서 밸브가 닫히는 것이 발전소 안전성 측면을 고려해서 좋기 때문에 밸브가 자동적으로 닫히도록 설계되어 있는 것입니다.
|
|

|
|
|

|
1. 안전 설비의 설계특성
원자력발전소는 운전원의 실수나 기기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에도 그것이 사고로 이어지지 않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다중성 |
독립성 |
다양성 |
같은 기능을 가진 설빌르 2개 이상 중복 설치 |
2개 이상의 계통 또는 기기가 한가지 원인에 의해 기능이 상실되지 않도록 분리(독립)하여 설치 |
한가지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성질이 다른 계통이나 기기를 2개 이상 설치 |
견고성 |
고장시 안전한 방향으로 작동 |
연동기능 |
원자력발전소의 구조물이나 기기, 설비는 지진 등의 어떠한 비상 상태에서도 구조적 건전성 유지 |
어떤 원인에 의해 설비 본래의 기능이 상실될 때 발전소가 안전한 방향으로 유도되도록 설계 |
설비 또는 기기의 오동작 등에 의한 손상 및 사고를 방지하기 위하여 정해진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면 기기가 작동되지 못하도록 설계 |
|
|
2. 지진에 대비한 설계
원자력발전소는 주변에 활성단층이 없는 곳에 부지를 선정하고있으며, 충분한 여유도를 갖는 내진설계를 하고 있기때문에 규모 6.5 지진에도 안전합니다. 또한 원전 운영 중에는 지진감시설비를 설치하여 지진이 일어났을때 발전소를 안전하게 정지시키고 비상조치를 취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1995년에 일어난 일본 고베지진은 리히터 규모 7.2로 고속도로가 파괴되는등 도시전체가 폐허가 되었지만, 인근 11개 원전에는 전혀 피해가 없었다는 사실은 원자력발전소의 내진성을 입증해준 좋은 사례입니다.
3. 방사능 누출을 방지를 위한 5방벽
|
|

|
|
모든 기계가 그렇듯이 원자력 발전소도 아무리 완벽하게 설계해서 건설하고 운영한다고 할지라도 고장이나 사고를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만일의 사고가 일어나더라도 그 피해의 확대를 철저히 방지하는 일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원자력발전소는 여러 가지 안전 대책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첫째, 약간의 이상이 생기면 자동적으로 긴급 정지가 이루어지도록되어 있습니다. 특히 원자로 내의 온도나 압력에 이상이 생기면 그 내용이 밝혀지면서 원자로는 자동 정지됩니다. 또한 똑같은 기능을 하는 기기를 2개 이상 설치하여 어느 한쪽이 작동이 되지 않더라고 다른 쪽이 그 기능을 수행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둘째, 어떤 경우에도 방사성 물질은 철저히 원자로 격납 용기 내에 밀폐되도록 다중의방호벽으로 만들어져 있습니다.
|
|
|
제1방벽은 핵연료 피복관으로서 그 안에 핵연료를 내장하여 방사선의 누출을 막아 줍니다.
제2방벽은 원자로 용기입니다. 핵연료 다발과 원자로 냉각재를 그 안에 담고 있으며 두께가 20cm 이상의 강철로 된 용기입니다.
제3방벽은 원자로 주위를 둘러싸고 있는 두꺼운 콘크리트 벽으로서 원자로에서 빠져 나오는 방사선을 효과적으로 차폐합니다.
|
|

|
|
|
제4방벽은 원자로 건물 내부 철판입니다. 원자로와 원자로 냉각재, 안전계통 및 그 보조계통들이 모여 있는 공간 전체를 감싸는 두꺼운 강철 구조물로서 일반적으로 돔 형식으로 되어 있습니다.
제5방벽은 콘크리트로 된 원자로 건물입니다. 내부 철판의 바깥쪽을 에워싼 76~120cm의 두꺼운 철근 콘크리트 건물입니다. 이 철근 콘크리트는 원자로 건물이 폭격을 당해도 견뎌낼 수 있는 정도의 강도입니다. 내부 철판과 마찬가지로 돔 형태이며 격납 건물 또는 원자로 건물이라고 부르는데 어떤 경우에도 방사성 물질은 이 건물 안에 갇히어 밖으로 나오지 못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
|

|
|
4. 원자로의 안전성
원자력 발전소는 원자로 자체의 고유 안전성 외에도 엄격한 품질 관리, 여유 있는 안전 설계, 오조작 오동작 방지 설비, 다중 방호 설계, 자연 재해에 대한 대책 등을 고려하여 안전하게 설계, 운영하고 있습니다. 원자로의 고유 안전성에 대한 원리는 앞의 도표를 보시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원자로는 그 자체의 압력, 온도, 출력 등의 상태를 항상 감시하면서 그것이 조금이라도 정상 상태를 벗어나면 그것을 스스로 찾아내어 자동적으로 원상 복구 시킵니다. 원상 복구가 되지 않으면 정지됩니다. 또 만일의 경우를 대비하여 많은 냉각 시스템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원자로에는 안전 보호상 중요한 기기는 같은 기능을 갖는 설비를 두 개 이상 독립적으로 설치하고 있습니다. 이것이 곧 다중 안전 방호의 개념입니다. 각종 과실을 상정하여 여러 각도에서
안전의 뒷받침을 도모하고 있는 것이 원자력 발전의 시스템입니다.
|
|

|
|
원자력 발전소는 자연 재해에 대한 대책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지진이나 태풍, 해일 등의 자연 재해에 대해서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
|
|